[한국의 유물유적] 간송 전형필이 지켜낸 고려청자의 진수.. '개스비 컬렉션'
[임영열 기자]
▲ 국보 청자 상감 운학문매병. 고려시대(12세기). 높이 42.1㎝, 입지름 6.2㎝, 밑지름 17㎝. 몸통 전면에는 구름과 학을 새겨 넣었다. 일본인 도굴꾼이 강화도에 있는 고려 무신정권의 실력자 최우의 무덤에서 도굴한 것으로 알려졌다. 1935년 간송 전형필이 일본인 골동상 마에다 사이이치로에게 당시 기와집 20채 값으로 인수했다. |
ⓒ 문화재청 |
청자의 소유자는 마에다 사이이치로.
일본 골동품상이었다.
제시한 가격은 2만 원.
당시 서울에서 쓸만한 기와집 한 채 값이 천 원 가량이었으니
도자기 한 점이 기와집 20채와 맞먹는 가격이었다.
워낙 가격이 높은 탓에 총독부 박물관에서도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었다.
▲ 문화재 독립운동가 간송 전형필(澗松 全鎣弼 1906~1962) 선생. |
ⓒ 간송 미술관 |
뒤늦게 소식을 접한 오사카의 대수장가 무라카미가 일본에서 급히 건너왔다.
이쯤 하면, 우리 문화유산에 아무리 관심이 없는 사람이라도
이 청년이 누구인지 짐작했을 것이다.
맞다.
이 사람은 교과서에도 나오는 문화재 독립운동가 '간송 전형필' 선생이다.
▲ 도쿄 와세다 대학시절의 간송 전형필. |
ⓒ 간송미술관 |
간송의 집안은 증조할아버지 때부터 현재 종로 4가인 배오개의 상권은 물론이며
보통학교를 졸업한 간송은 외종 사촌이었던 월탄 박종화가 다녔던
휘문고보에 진학한다.
여기에서 한국 최초의 서양화가이자 민족주의자였던 스승 춘곡 고희동과
독립운동가이면서 서화가인 위창 오세창을 만나
우리 역사·문화·예술의 중요성을 깨닫게 된다.
오세창은 전형필에게 '간송(澗松)'이라는 호를 지어준다.
'산골짜기의 맑은 물과 사시사철 푸른 소나무'라는 의미다.
▲ 위창 오세창과 전형필, 위창은 전형필에게 우리 문화의 중요성을 일깨워주고 간송이라는 호를 지어 주었다. |
ⓒ 간송미술관 |
고려청자를 사랑한 '푸른 눈의 변호사'
우리 민족 문화재를 지키는 일이 곧 독립운동이라 생각한 간송이 수집한 문화재는
삼국시대부터 고려와 조선, 근대에 이르기까지 전 시대를 아우른다.
종류도 서화·도자기·고서·석탑 등 5천여 점에 이른다.
이 가운데 국보가 12점 보물이 30점에 이른다고 하니 놀랄 만한 일이다.
간송이 '문화보국'을 위해 모은 문화재 한 점 한 점에는
눈물겨운 사연이 깃들어있다.
그중에서도 이른바 '개스비 컬렉션'이라 부르는 고려청자 20점을
일본에서 인수해오는 과정은 마치 한 편의 드라마를 보는 듯 극적이다.
▲ 국보 청자 모자원숭이 모양 연적. 고려시대(12세기 중반). 높이 9.8㎝, 몸통 지름 6.0㎝. 연적은 벼루에 먹을 갈 때 쓰는 물을 담는 그릇이다. 간송 전형필이 일본에서 영국인 변호사 개스비로부터 인수한 것이다. |
ⓒ 문화재청 |
그러던 어느 날 우연히 골동품상에서 비색의 고려청자를 보게 된다.
개스비의 청자 사랑은 대단했다.
일본에서 구입한 청자만으로는 성이 차지 않았던 터라
어느 해 연말 청자의 나라 한국으로 급히 날아온다.
당시 조선총독부 고등법원장이던 요코다 고로가 가지고 있던
'상감연지원앙문정병'과 '박산향로'를 구입하기 위해서였다.
▲ 국보 청자 상감연지원앙문 정병. 고려시대(12세기). 높이 37.0㎝, 밑지름 8.9㎝. 개스비가 한국까지 와서 당시 총독부 고등법원장이던 요코다 고로에게서 구입해 간 것이다. 개스비 컬랙션 중에서 국보로 지정된 것이다. |
ⓒ 문화재청 |
동경 유학파 출신이었던 간송은 당시 일본의 정세를 훤히 꿰뚫고 있었다.
1930년대 후반 일본의 군국주의가 극한으로 치닫고 있던 터라
머지않아 전쟁이 일어날 거라 판단했다.
그렇게 되면 개스비가 전쟁을 피해 일본을 떠나게 될 것이고
가지고 있던 청자도 처분할 거라 예측했다.
간송은 개스비가 거래하던 골동품 중개상들에게 정보비를 쥐어주고
개스비가 청자를 팔려는 기미가 보이면 제일 먼저 알려달라 부탁한다.
간송의 예상은 적중했다.
1936년 2월 일본 군부가 쿠데타를 일으켰다가 실패한 2·26 사건이 일어났고
중·일 전쟁이 눈앞으로 다가왔다.
불안감을 느낀 개스비는 청자를 모두 팔고 일본을 떠날 결심을 한다.
▲ 국보 청자 오리모양 연적. 고려시대(12세기). 높이 8㎝, 너비 12.5㎝. 개스비 컬랙션 중에서 국보로 지정됐다. 물 위에 뜬 오리가 연꽃 줄기를 물고 있으며 연잎과 봉오리는 오리의 등에 자연스럽게 붙어있다. |
ⓒ 문화재청 |
대가는 대가를 알아보는 법이다.
▲ 국보 청자 기린형뚜껑 향로. 고려시대(12세기). 높이는 20㎝. 개스비 컬랙션 중에서 국보로 지정됐다. 향을 피우는 부분인 몸체와 상상 속의 동물인 기린이 꿇어 앉아있는 모습을 한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다. |
ⓒ 문화재청 |
간송이 기와집 400채 값으로 일본에서 되찾아온 20점의 고려청자는
간송은 '개스비 컬렉션'을 인수해온 이듬해 1938년
▲ 간송은 1938년 서울 성북동에 우리나라 최초의 사립미술관 ‘보화각’을 설립해 그동안 모은 문화재 보관했다. 지금은 간송미술관으로 바뀌었으며 국가 등록문화재로 지정됐다. |
ⓒ 문화재청 |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격월간 문화잡지 <대동문화>132호(2022년 9, 10월)에도 실릴 예정입니다.
Copyrights ⓒ '모든 시민은 기자다'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역사, 기타 글과 자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공적인 삶의 길 - 부정적 생각을 몰아내는 긍정적 태도 3가지 (0) | 2022.09.17 |
---|---|
재개발·재건축이 블랙홀에 빠지는 이유 (홍사훈기자) (0) | 2022.08.21 |
태조 이성계의 사찰에서 사지가 찢긴 불상이 널브러져 있었다[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0) | 2022.08.09 |
부실한 훈민정음 '상주본'이 1조원?..꽁꽁 숨겨도 1원도 안된다[이기환의 Hi-story] (0) | 2022.08.07 |
"50억원의 유혹도 '만장일치'로 뿌리쳤다"..겸재 정선 화첩의 '선한 귀환" (0) | 2022.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