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스베가스를 떠나며
사랑이 짧으면 슬픔은 길어진다! 라스베가스 창녀, 죽기위해 마셔대는 알콜중독자... 그 사랑에 취하고 싶다!
벤(Ben: 니콜라스 케이지)은 LA에서 활동하던 영화 시나리오 작가이다. 이제 그는 영화사에서 실직했고 알코올 중독상태이며 가족과도 헤어진 상태이다. 퇴직금을 받아든 그는 환락의 도시 라스베가스로 차를 몰고 간다. 물론 그의 한 손에는 술병이 쥐어져 있다. 자신의 존재 이유를 상실한 벤이 라스베이거스를 찾은 것은 그곳에서 술에 만취되어 한달 정도를 보내다보면 자연스럽게(?) 죽을 수 있으리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한편 라스베이거스에는 자신의 직업에 대단한 긍지를 가진 세라(Sera: 엘리자베스 슈)가 밤거리의 여자 생활을 하고 있다. 그녀의 뒤에는 유리라는 포주가 있고. 벤과 세라는 우연히 마주쳤으나 벤은 그후 세라에게 의도적으로 접근한다. 그것은 여자를 돈주고 사겠다는 뜻이 아니었다. 벤에게 필요한 것은 여자가 아니라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사람이었다. 결국 이들은 서로에게 연민의 정과 동질감을 느끼게 된다. 유리로부터 자유로워진 세라와 벤은 서로의 삶을 간섭하지 않겠다는 조건 즉, 세라는 벤의 알콜 중독에 대해 치료를 받으라는 잔소리(?)를 하지 않고 또한 벤은 세라의 직업활동에 대해 간섭하지 않는다는 조건하에 동거를 시작한다.
두 사람은 라스베이거스에 온 후 처음으로 행복을 느끼지만 불행의 조짐도 드러난다. 그들은 서로를 사랑하게 되면서 처음에 약속했던 조건을 어기게 된다. 사랑이란 결국 서로에게 잔소리하며 간섭하는 것이 아닌가. 귀걸이를 선물하면서도 모욕을 주고 집안에 또다른 밤거리의 여자를 불러들이는 벤의 행동 때문에 세라는 깊은 슬픔에 빠진다. 그후 집을 나간 벤에게서는 연락도 없고 세라는 대학생들로부터 심한 폭행을 당한다. 상처가 아물기도 전에 벤의 연락을 받은 세라는 그와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사랑을 나눈다. 벤은 이미 죽음 직전에 와있었으며, 그에겐 세라와의 그날밤 사랑이 지상에서의 마지막 추억이 된 것이다.
둘은,
사랑에 앞서 서로에게 다짐을 받는다.
서로. 있는 모습 그대로 사랑하자.
나에게 술을 마시지 말라는 말을 하지 말고
나에게 일을 나가지 말라는 말을 하지 말자.
그렇게 서로가 망가져 가는, 혹은 죽어가는 상황을 그저
응시할 수 밖에 없었던 두 사람..
사랑은 그 안에서도 커져만 갔고
둘은 서서히 끝으로 치다르고 있었다.
여자는 몰랐다.
자신의 집 침대위에서 뒹굴던 남자와 창녀의 모습.
그것은 죽음을 느낀 남자의 마지막 배려였음을.
남자는 몰랐다.
자신의 그 배려로 사랑의 끝을 맺기엔
이미 사랑이 너무 커져 있었음을.
죽음의 시간.
여자와 남자가 다시 만난다.
남자는 서서히 숨을 거두고 있고,
둘은,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하나가 된다.
내가 기억하는 가장 슬프고 아름다운 정사 장면.
여자의 인터뷰가 끝나고 엔딩크레딧이 올라가고.
멍해있던 내 눈에서 눈물이 후두둑 쏟아져 내렸다.
주체하기 힘든 큰 폭우였다.
한참후에서야 나는 그 눈물을 수습할 수 있었다.
그래... 사랑은 된다.
아무리 누가 뭐라해도 사랑은 된다.
아무리 나에게 상처가 있고 너에게 아픔이 있어도
사랑은 된다.
사랑은 그 자체로 너와 내곁에 머문다.
그래...
아무리 그래도... 사랑은 된다.
이 영화....아.... 저에게 있어서는 너무나도 너무나도 소중하다고 해야 할까요? 아니 그건 아니고
소중하다기 보다는 너무나도 특별한 영화라고 말 해야 하는게 맞겠네요 맞습니다 저에게 있어서는
그 어떤 영화보다도 제가 봐 왔던 그리고 제가 알고 있는 영화 보다도 더욱 더 가장 특별한 영화입니다.
그것은 바로 이 영화의 주인공이 저와 비슷한 성격이기 때문입니다.
현대인이 사회 생활을 하면서 부딧히고 깍이다 보니 나름대로 아픔이 쌓이고 힘에 겨움이 축척될때가
있습니다. 저 또한 그렇구요 그런데 이 영화는 마치 그런 나를 얘기 하듯이 너무나도 뚜렷히 얘기를
해 주고 있습니다.(물론 이건 제가 이 영화를 보고나서 느낀 감정이지만요) 마치 그런것과 같다고 표현
해야겠네요 인형을 만드는 사람은 여자의 인형을 만들되 너무나도 아름답고 깜찍한 인형을 만듭니다.
그러나 그중 유독 한 사람만이 독특한 인형을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그것은 장애 인형이였죠 말 그대로
다리 하나가 없는 인형을 만들어서 똑같이 다리 하나가 없는 아이에게 선물을 주었더니 그동안 전혀
말을 하지 않던 아이가 인형에게 말을 걸으면서 좋아했다는겁니다. 저 또한 이 영화에서 마치 장애
아이가 처음으로 인형에게 말을 걸었듯이 마음이 통함을 느꼈습니다. 왠지 모를 쓸쓸함과 고독함
그러면서도 세상속에 내 존재성을 알리려는 끝없는 몸부림과 같은 텅 빈 허무이면서 지리멸렬하게
흐트러진 내 자신이 뚜렷이 투영되었던 것입니다.
그렇게 되다 보니 혼자서 술을 마실때면 언제나 이 영화를 틀어놓고 음악을 즐기곤 했습니다.
첫 시작하면서 나왔던 스팅의 음악 너무나도 가슴 절절하면서 마치 이 영화를 함축적 묘사를 한듯한
이 음악에 빠지기도 했습니다.
제가 너무 쓸대없는 얘기를 주절이 주절이 꺼내놓았네요
이 영화는 LA비평가단이 금세기 최고의 영화라고 극찬을 하기도 한 영화입니다.
One And Only Love - Sting
--------------------------------------------------------------------------------------
**** 이 글은 퍼온 글입니다.
글씨가 작아 크기만 키우고 원본 그대로 실었읍니다.
'영화·영화음악·영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태양은 가득히 / 르네 끄레망 (0) | 2014.02.20 |
---|---|
[스크랩] Raging Bull (성난 황소) (0) | 2014.02.20 |
[스크랩] 황야의 7인 (1960년) (0) | 2014.02.17 |
[스크랩] Happy Talk 외 - Claudine Longet (0) | 2014.02.15 |
[스크랩] 토요일 밤의 열기/ Saturday Night Fever 음악적 리뷰 + 동영상 모음 (0) | 2014.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