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ic·가곡·연주·합창

[스크랩] 글라주노프 바이올린 협주곡

mistyblue 2015. 2. 26. 23:23

 

 

Aleksandr Konstaninovich Glazunov(1865.8.10~1936.3.21)

 

 

글라주노프 바이올린 협주곡

 

 

 

1악장(Moderato)

 

 

 

2악장(Andante)

 

 

 

3악장(Allegro)

 

 

 

 

Maxim Vengerov, Violin

Claudio Abbado, Cond.

Berlin Philharmonic Orchestra

 

 

글라주노프의 바이올린 협주곡은 드보르작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상기시키는 듯한 악기의 독자적인 연주가 특징이다. 

그의 바이올린 협주곡은 낭만적이면서도 러시아적인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러시아에서 차이코프스키의 뒤를 잇는 중요한 작곡가인 발라키레프에게서 피아노를 배웠던 글라주노프의 어머니는

 뛰어난 재능을 지닌 아들을 자기 선생에게 데리고 갔다.

 발라키레프는 그를 림스키 코르사코프에게 사사받도록 하였다.

1882 년에 발라키레프는 글라주노프가 작곡한 교향곡 1번을 연주하였다.

글라주노프는 2개의 현악 4중주곡과 그리스 민요에 의한 서곡, 교향시 '스텐카 라진 (Stenka Razin)' 을 작곡한 데 이어

1886년에 교향곡 2번을 완성했다.

당시 그는 러시아 민족주의 음악가의 계승자로 인정받았으며, 그들과 같은 양식으로 작곡했다.

또한 1884년 바이마르에 있는 리스트를 방문하여 그 의 영향을 받았고,

 그밖에 특히 바그너와 차이코프스키의 영향도 뒤에 나타난다.

교향곡 4번, 5번, 6번과 발레곡들인 '레이몬다(Raymonda)', '사랑의 술책(Ruses d'amour)', '사계 (Les Saisons)' 등

 대부분 주요 작품들은 1890년대에 작곡되었다.

1904년에 '바이올린 협주곡 A단 조'를 썼고, 1906년에 마지막 교향곡인 제8번을 완성했다.

 1905년에는 자신이 1899년부터 가르쳤던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의 원장이 되었다.

  그는 러시아 혁명(1917) 후 1928년까지 상트페테부르크 음악원 원장으로 있다가 고립감을 느껴 결국 소련을 떠났다.

그후 미국에서 순회공연(1929~30)을 했으나, 좋은 반응을 얻지 못했고

 그 뒤로는 파리에 정착하여 여생을 그곳에서 보냈다. (펌)  

 

 

   

출처 : 생각하는 다람쥐
글쓴이 : 사피엔스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