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rco Negro (검은 돛배)
Amalia Rodriguez
De manha, que medo, que me achasses feia!
Acordei, tremendo, deitada n"areia
Mas logo os teus olhos disseram que nao,
E o sol penetrou no meu coracao.
Vi depois, numa rocha, uma cruz,
E o teu barco negro dancava na luz
Vi teu braco acenando, entre as velas ja soltas
Dizem as velhas da praia, que nao voltas:
Sao loucas! Sao loucas!
Eu sei, meu amor,
Que nem chegaste a partir,
Pois tudo, em meu redor,
Me diz qu"estas sempre comigo.
No vento que lanca areia nos vidros;
Na agua que canta, no fogo mortico;
No calor do leito, nos bancos vazios;
Dentro do meu peito, estas sempre comigo.
난 해변에 쓰러져 있었고 눈을떴지
거기서 난 바위와 십자가를 보았어
당신이 탄 돛배는 밝은불빛 속에서 너울 거리고
당신의 두팔은 지쳐서 흩어지는것 같았어
뱃전에서 당신이 내게 손짓하고 있는것을 보았지
그러나 파도는 말하고 있었어
당신은 영원히 돌아오지 않을 거라고.
그러나 바닷가의 노파들은 말했어.
당신이 영원히 돌아오지 않을 것이라고.
미친 여자들이야
미친 여자들이야
난 나의 사랑을 알고 있어
당신이 떠나가 버린 것이 아니란 것을
그래서 사람들은 당신이 언제나 나와 함께 있다고 말하지.
유리 구슬을 강변에 뿌리는 것 같은 바람속
꺼질 듯한 불빛 속에서 노래하는 수면에
나뭇잎처럼 흔들리는 배
달빛 다사로운 속에
내 가슴속에 당신은 언제나 나와 함께 있지.
아아, 난 나의 사랑을 알고 있어
Amalia Rodriguez
1920년 6월 23일 포르투갈 리스본 태생
1939년 (19세) 프로 가수 데뷔
1944년 (24세) 첫 해외 공연 (브라질)
1954년 (34세) 프랑스 Olympia 극장을 통해 첫 프랑스 무대 데뷔
1989년 (69세) 프랑스 쟈끄 시라크 수상, 아말리아에게 황금 문화 메달 수여.
1999년 (79세) 10월 6일 리스본에서 사망
1920년 6월 23일 포루투칼 리스본에서 태어나서 19세에 프로 가수 데뷔. 1999년 79살에 고향인 포루투칼
리스본으로 돌아와 세상을 떠날 때까지 포루투칼의 파두를 전세계에 알린 아티스트.
포르투갈의 전통 음악 '파두'는 슬픈 운명의 음악이다. 파두를 예술의 경지로 격상시킨 주인공이자 세계적인 음악으로 만든 일등공신. 그녀의 드라마틱한 창법에 세계는 경의를 표했고, 세상을 떠났을 때 포르투갈 전체가 슬픔에 잠겨 국장으로 치렀다.
무대에서 항상 입던 검은 옷은 그녀의 트레이드 마크이자 전통이 됐다. 지금도 파두 여성 싱어들은 자주 검은 옷을 입고 노래하며 '제2의 아말리아 로드리게스'라는 평가는 최상의 영예로 여긴다.
아말리아 로드리게스의 대표 음악이 바로 '바르코 네그로(검은 돛배)'라 여겨진다.
"파두란 우리들이 결코 마주하고 싸울 수 없는
존재가 있다는 것을 아는 것,
아무리 발버둥 치며 노력해도
바꿀 수가 없다는 것,
왜라고 물어도 결코 그 이유를 알 수 없는 것,
답이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묻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
ㅡAMALIA RODRIGUES (아말리아 로드리게스)-
Amalia Rodriguez 노래 모음
1. Nem As Paredes Confesso
2. Maldicao (어두운 숙명)
3. Fado Portugues
4. Ai Mouraria
5 Vou Dar De Beber Dor
6 Barco Negro
7 Gaivota
8 Povo Que Lavas No Rio
9 Estranha Forma De Vida
10 H Festa Na Mouraria
11 Uma Casa Portuguesa
12 Lisboa Antiga
13 Coimbra
14 Maria Lisboa
15 Havemos De Ir A Viana
16 Primavera
17 Com Que Voz
18 Foi Deus
Solidao
Estranha forma de vida
파두 (fado)
수도이자 항구도시인 리스본의 번화가에서 많이 불리는 민중적인 노래이다. 이 노래가 오늘날과 같은 형태로 다듬어진 것은 19세기 전반으로 추정된다. 그 기원에 관해서도 도 뱃사람의 노래, 죄수의 노래, 어떤 종류의 민요에서 파생된 노래, 브라질이나 아프리카에서 건너온 노래라는 등의 갖가지 설이 있다.
그러나 음악학적·역사적으로 보아 거의 확실한 것은 1800년 전후에 포르투갈과 브라질에서 크게 유행했던 도시풍이면서도 감상적인 노래 《모디냐 modinha》와 경쾌한 춤노래 《룬두 lundu》가 이 노래의 발생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이다.
파두의 어원은 '숙명'과 '운명'을 뜻하는 라틴어 '파툼'(Fatum)에서 유래됐고, 파두의 밑바탕에 드리운 '사우다드'(Saudade)는 우리의 '한'(恨)과 유사한 포르투갈의 대표적인 정서다.
운명·숙명의 뜻을 지닌 파두는 리스본 민중의 삶을 노래한 민요로서 언제 들어도 구슬프고 서정적이다. 특히 파두 트리스테(fado triste)와 파두 메노(fado menor)라 불리는 고전적인 곡조는 가슴 속 깊이 와닿는 애조를 띤다. 2박자·4박자의 단순한 것이 대부분이며 조성(調性)은 단조가 많고, 장·단조 모두 화성구조(和聲構造)는 복잡하지 않다. 그러나 미묘한 싱커페이션(당김음)과 섬세한 가락으로 되어 있어 가수의 노래솜씨에 따라 매우 풍부한 정취를 느끼게 한다.
파두의 가수들(여성이 많다)은 보통 '파두의 집(casa do fado)'으로 불리는 레스토랑을 무대로 노래부른다. 반주는 옛날부터 포르투갈기타 1, 스패니시기타 1로 정해져 있으므로 극장 등에서 노래할 때에는 반주자를 더 늘린다. 포르투갈 북부의 교육도시코임브라에서 불리는 파두는 파두 다 코임브라라고 하며, 리스본의 파두와는 달리 세레나데와 같은 평온하고 밝은 멋을 풍긴다.
기구한 것은 40여년간 포르투갈을 암흑으로 몰아넣은 살라자르 독재정권의 우민화정책에 파두가 이용됐다는 사실. 파두는 '축구'(Football), 성모 마리아가 현신했다는 가톨릭 성지 '파티마'(Fatima)와 함께 이른바 3F 정책의 희생양이었다. 하지만 역사의 아이러니는 파두를 훨씬 극적인 음악으로 만들었다
1974.4.25일, 포르투갈 라디오 방송국에서는 금지곡이던 파두 뮤지션 주제 아폰수의 노래가 흘러나왔고, 이것을 신호로 청년장교단은 수도 리스본에 진입했다.
시민들은 혁명군에게 환영의 표시로 카네이션을 던져주었는데, 이것이 무혈명예혁명인 카네이션 혁명이다. 결국 우민화정책의 일환으로 장려된 파두가 그 정권을 무너뜨린 신호탄이 된 것이다.
음악적으로 파두에는 과거 5백50여년간 포르투갈을 지배한 무어인(북 아프리카의 아랍계 혼혈인종)의 영향으로 아랍 색채가 강하게 배어있다. 여기에 아프리카에서 끌려온 흑인노예들의 음악과, 브라질 유학생들의 음악(아프리카 계통)이 뒤섞인다.
'연주·경음악·뉴에이지·제3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앤더슨 / 나팔수의 휴일(Bugler`s Holiday), 타이프라이터(The Typewriter) (0) | 2014.01.30 |
---|---|
[스크랩] 앤더슨 / 푸른 탱고(Blue Tango) (0) | 2014.01.30 |
[스크랩] Come Vorrei (내 사랑) - Samy Goz (0) | 2014.01.25 |
[스크랩] Merci Cherie (고마워요 내사랑) - Udo J?rgens (0) | 2014.01.25 |
[스크랩] Macarena (마카레나) - Los Del Rio (0) | 2014.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