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ssorgsky, Night on Bold Mountain
무소륵스키 ‘민둥산에서의 하룻밤’
Modest Mussorgsky
1839-1881
Fritz Reiner, conductor
Chicago Symphony Orchestra
Orchestra Hall, Chicago
1959.03.14
Fritz Reiner/CSO - Mussorgsky, Night on Bold Mountain (Rimsky-Korsakov version)
회오리바람이 불어오듯 무시무시한 분위기로 시작되는 교향시 <민둥산에서의 하룻밤>은 19세기 관현악 작품들 가운데서도 매우 독창적이고 특별한 작품으로 손꼽힌다. <민둥산에서의 하룻밤>을 작곡한 무소륵스키는 러시아 남부 키예프의 트라고라프라 불리는 산에서 매년 6월 24일마다 열리는 성 요한제의 전설에 영감을 받아 이 곡을 작곡했다고 전해진다. 전설에 의하면 성 요한제의 전날 밤에는 온갖 마녀와 귀신들이 민둥산에 모여 악마를 기쁘게 하는 잔치를 벌어지는데, 그들이 벌이는 기괴한 연회 장면은 무소륵스키의 교향시 <민둥산에서의 하룻밤>에 생생하고 드라마틱하게 펼쳐진다. 거칠면서도 흥미진진한 느낌의 이 음악은 재미난 표제와 대담한 표현력을 갖추고 있어 오늘날 오케스트라의 어린이 음악회의 단골 레퍼토리로 연주될 뿐 아니라, 디즈니의 유명한 만화영화 <판타지아>에 사용돼 인기를 얻기도 했다.
그러나 이 곡은 작곡의 기원부터 완성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개정과 편곡 과정을 거치면서 판본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문제작이기도 하다. 게다가 오늘날에는 무소륵스키의 원곡 판보다는 림스키코르사코프의 편곡 판이 주로 연주되고 있기에 과연 이 작품을 무소륵스키의 대표적인 관현악곡으로 꼽을 수 있을지 의문스러운 점도 있다.
작곡 배경에 대한 가설과 여러 개의 판본
사실 <민둥산에서의 하룻밤>을 비롯한 무소륵스키의 많은 작품들은 림스키코르사코프의 편곡 작업이 없었다면 세상에 알려지기 어려웠을 것이다. 무소륵스키는 러시아 5인조를 이루는 민족주의 작곡가들 가운데 독창적이고 파격적인 악상을 지닌 음악가였음에도 간질병과 알코올 중독에 시달리다 46세의 이른 나이에 심장병으로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나는 바람에 그의 작품들은 대부분 미완성으로 끝나버렸다. 다행히 러시아 5인조의 작곡가 중 관현악 기법에 가장 뛰어났던 림스키코르사코프는 무소륵스키가 남긴 작품에 오케스트레이션을 하고 원곡의 의도에 맞게 양심적으로 편곡하여 무소륵스키의 많은 작품들이 세상에 알려질 수 있었다. 교향시 <민둥산에서의 하룻밤> 역시 림스키코르사코프의 깔끔하고 화려한 오케스트레이션 덕분에 빛을 보게 된 작품이다. ▶이 곡은 민둥산에 모여든 마녀와 악마들의 기괴한 축제를 묘사한 관현악 기법이 뛰어나다.
무소륵스키의 <민둥산에서의 하룻밤>이 어떻게 잉태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그 중 하나는 무소륵스키가 리스트의 <죽음의 무도>를 모델로 하여 1860년경에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환상곡이라는 형식으로 구상한 것이 <민둥산에서의 하룻밤>의 기원이 되었다는 림스키코르사코프의 주장이다. 그러나 초안의 흔적이 전혀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것은 알 수 없다. 또 한 가지 유력한 설에 의하면 1860년에 멘그덴 남작의 희곡 <마녀>를 위한 부수음악을 구상하고 있었던 무소륵스키가 이 희곡 가운데서 1년에 한 번 열리는 ‘악마의 연회’ 장면에 대한 음악을 작곡했는데, 이것이 <민둥산에서의 하룻밤>의 기원이 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결국 이 무대 작품은 완성되지 못했다.
이후 무소륵스키는 고골의 희곡 <성 요한제의 전야>에 의한 오페라를 구상하면서 1867년에 드디어 교향시 <민둥산의 성 요한제의 밤>의 첫 번째 판본을 완성하게 되었다. 그러나 작곡가 발라키레프가 이 곡을 심하게 혹평하는 바람에 이 곡은 연주 기회도 얻지 못한 채 묻혀버렸고 오페라 역시 완성되지 못했다. 그로부터 4년 후인 1871년, 러시아 5인조의 합작 오페라 <믈라다>를 위해 무소륵스키는 교향시 <민둥산에서의 하룻밤>을 성악과 피아노용으로 편곡하려 했으나 이 계획 역시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다 그는 다시 오페라 <소로친스크의 시장>을 작곡하면서 술에 취한 청년의 환각에 사로잡힌 꿈을 묘사하기 위해 <민둥산에서의 하룻밤> 악보를 개정해 ‘젊은이의 꿈’이라는 합창 관현악 작품으로 만들었다. 오페라에서 이 곡은 3막의 1장과 2장 사이에 삽입된 간주곡이며 극의 이야기와 직접 관계가 없는 꿈속의 악마의 향연을 묘사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무소륵스키가 남긴 <민둥산에서의 하룻밤>의 악보는 결국 서로 다른 이름의 세 가지 판본으로 존재하게 되었다. 발라키레프의 혹평으로 사장된 1867년의 <민둥산의 성 요한제의 밤>의 원곡 판과 오페라 <믈라다>의 편곡 판, 그리고 오페라 <소로친스크의 시장> 중 ‘젊은이의 꿈’이 그것이다. 1881년 무소륵스키의 타계 이후 림스키코르사코프는 남아 있는 세 개의 판본들 중 개개의 최상의 부분을 떼어내어 자기 나름의 교항시로 구성해냈다. 이로써 교향시 <민둥산에서의 하룻밤>은 림스키코르사코프의 오케스트레이션과 무소륵스키의 악상이 결합된 새로운 작품으로 재탄생하게 되었다. 림스키코르사코프의 편곡 판은 1889년 프랑스에서 개최된 만국박람회의 연주회에서 초연되었다.
David Lloyd-Jones/LPO - Night on Bold Mountain (Original Score)
David Lloyd-Jones, conductor
London Philharmonic Orchestra
1971
추천음반
<민둥산에서의 하룻밤>의 전통적인 추천음반으로는 프리츠 라이너가 지휘하는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음반(RCA)이 있으며, 샤를 뒤투아가 지휘하는 몬트리올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음반(Decca)과 주세페 시노폴리가 지휘하는 뉴욕 필하모닉의 음반(DG), 레이프 세게르스탐이 지휘하는 핀란드 라디오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음반(BIS)도 호평을 받고 있다.
글 최은규(음악평론가) <교향곡은 어떻게 클래식의 황제가 되었는가>의 저자.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졸업, 동 대학원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의 바이올린 부수석 및 기획홍보팀장을 역임. 월간 <객석>, <연합뉴스> 등 여러 매체에서 음악평론가 및 칼럼니스트로 활동하고 있으며, 예술의 전당과 풍월당 등에서 클래식 음악을 강의하고 있다.
출처 : 네이버캐스트 오늘의 클래식>명곡 명연주 2010.08.23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66&contents_id=3323
'classic·가곡·연주·합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베토벤, 첼로소나타 5번 작품 102 - 2번 D장조 (0) | 2015.02.28 |
---|---|
[스크랩] 슈만, 피아노 소나타 2번 (0) | 2015.02.28 |
[스크랩] 모차르트, 현악5중주 6번 내림마장조 (0) | 2015.02.28 |
[스크랩] 파가니니, 바이올린과 기타를 위한 첸토네 소나타 2집 (0) | 2015.02.28 |
[스크랩] 카룰리/기타협주곡 in E minor, Op.140 (Pepe Romero, Guitar) (0) | 2015.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