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ethoven, Piano Trio No.5 Op.70-1 'Geister'
베토벤 피아노 3중주 5번 ‘유령’
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Patricia Kopatchinskaja, violin Sol Gabetta, cello Henri Sigfridsson, piano Live at Mozartsaal, 2009
Kopatchinskaja, Gabetta, Sigfridsson perform Beethoven Piano Trio No.5 'Geister'
‘명작의 숲’ 시기에 나온 작품 베토벤은 모두 7곡의 피아노 3중주를 작곡했다. 첫 번째 작품인 Eb장조는 1795년 여름에 빈의 알타리아 사에서 출판되었는데 자필악보가 발견되지 않아 정확히 언제 작곡된 것인지는 모른다. Eb장조를 포함해 G장조, C단조로 이루어진 세 곡의 피아노 3중주는 Op.1로 분류되고 있다. 1797년에 작곡한 피아노 3중주 4번 Bb장조 Op.11 ‘거리의 노래’는 바이올린 대신 클라리넷이 들어갔으며, 이는 베토벤이 음악적으로 다양한 시도를 하던 흔적이라 하겠다. 이 곡은 가끔 클라리넷 파트가 바이올린으로 편곡되어 연주되기도 한다. 이후 베토벤은 10년 가까이 3중주곡을 작곡하지 않았으며 1808년에 이르러 Op.70의 3중주곡 두 곡을 출판한다. 작품번호에서 알 수 있듯이 이 두 곡은 5번 교향곡 ‘운명’(Op.67)과 6번 교향곡 ‘전원’(Op.68)을 비롯해 피아노 협주곡 ‘황제’(Op.73) 등 베토벤의 대표적인 작품들이 쏟아져 나오던 이른바 ‘명작의 숲’ 시기, 베토벤 중기의 창작력이 클라이맥스에 도달한 시절의 작품이다. 베토벤이 브라이트 코프 운트 헤르텔 출판사에 보낸 편지에 의하면 피아노 3중주 Op.70의 두 곡은 원래 한 곡으로 완결되는 피아노 소나타로 구상되었으나, 이후 편성과 구성의 확대로 피아노 트리오로 바뀌었으며 두 곡으로 나누어졌음을 알 수 있다. 그런 이유에서인지 이 두 곡은 당시의 작품들에 비교해 그리 치밀한 구성미를 갖추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Op.70의 두 곡은 에르되디 백작부인(Countess Marie von Erdödy)에게 헌정되었다. 에르되디 백작부인은 남편과 함께 베토벤의 열렬한 지지자였으며, 베토벤의 피아노곡을 능숙하게 연주할 정도로 피아노 연주에 뛰어났다고 한다. 초연은 작품이 완성된 해인 1808년 12월 말 크리스마스 전후쯤 빈의 에르되디 백작의 저택에서 이루어졌으며 호평을 받았다. 피아노는 베토벤 자신이 맡았으나 다른 연주자들은 알려져 있지 않다. ▶에르되디 백작부인
불가사의하고 환상적인 2악장 라르고 Op.70의 두 곡 중에서 오늘날 비교적 많이 연주되고 있는 곡은 D장조 ‘유령 트리오’이다. 이곡을 ‘유령(Geister)’이라 부르는 이유는 2악장 라르고의 우울하고 신비로운 느낌 때문이다. 1악장은 알레그로의 소나타 형식으로 처음부터 힘차고 발랄하게 시작하며 힘을 늦추지 않은 채 2악장의 라르고로 들어가면 신비롭고도 음울한 뉘앙스를 자아내게 한다. 마지막 3악장은 빠른 프레스토로 2악장과는 달리 경쾌하게 진행되다가 화려한 클라이맥스를 이루며 끝난다. 당시 베토벤의 성향으로서는 다소 가벼운 듯하지만 전체적으로 인간적인 원숙기에 들어가는 시기에 그의 마음에 드리워진 짙은 음영이 나타나 있어서 새로운 양식을 충분히 느낄 수 있는 작품이다. 특히 2악장 라르고의 불가사의하고 환상적인 분위기는 당시에 대단한 인기를 끌었다.
1악장: 알레그로 비바체 에 콘 브리오 |
'classic·가곡·연주·합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베토벤, 현악 4중주 제15번 A단조 Op.132 `성스러운 감사` (0) | 2015.03.02 |
---|---|
[스크랩] 라흐마니노프 교향시 ‘죽음의 섬’ Isle of the Dead Op.29 (0) | 2015.03.02 |
[스크랩] Giovanni Paisiello, Piano Concerto No. 4 in G minor (0) | 2015.03.02 |
[스크랩] 베토벤, 피아노 삼중주 7번 Bb 장조 작품 97 `대공` (0) | 2015.03.02 |
[스크랩] 베토벤, 현악4중주 12번 Op.127 (0) | 2015.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