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수면 부족 VS. 수면 과다, 몸에 더 안 좋은 것은?

mistyblue 2022. 6. 6. 14:08

긴 시간 자는 게 몸에 더 해롭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잠은 7~8시간 자는 게 제일 좋다.

그러나 삶이 계획대로만 흘러가지는 않는다.

바쁜 날은 매우 적게, 쉬는 날은 온종일 잘 때도 있다.

둘 중 더 피해야 하는 습관이 있을까?

긴 시간 자는 게 몸에 더 해롭다.

여러 연구를 통해 적정시간 보다 적게 자거나 많이 자면,

심뇌혈관질환(협심증, 뇌졸중 등) 발병 위험이 커진다고 밝혀졌다.

명확한 인과관계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체내 염증이 증가해

면역 기능이 떨어지면서 여러 가지 부작용이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발표된 연구에선 일관적으로 적게 자는 것보다

많이 잤을 때 질환 발병 위험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왔다.

 

미국 콜로라도대 연구팀이 영국 바이오뱅크에 기록된

40~69세 46만 1000명의 수면 습관과 의료 기록을 7년 동안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수면 시간이 많거나 적은 사람은 적정 시간 자는 사람보다

심장 마비에 걸릴 위험이 더 높았는데,

많이 자는 사람(34%)이 적게 자는 사람(20%)보다 그 위험률이 더 높았다.

많이 자면 심뇌혈관발병 위험도 커진다.

 

경희대병원 가정의학과 연구팀이 한국인 유전체 역학조사 사업에 참여한

40~69세 2470명을 대상으로 11년간 수면시간과 심뇌혈관질환 발병 위험을 추적 조사했다.

그 결과, 5~7시간 잠을 잤을 때 가장 건강했는데,

이때와 비교했을 때 심뇌혈관질환 발병 위험이

7~9시간 자면 1.59배, 9시간 이상 자면 2.51배 높아졌다.

 

더 큰 차이를 보인 연구 결과도 있다.

미국 뉴욕대 랭곤 메디컬센터 건강행동변화센터 연구팀이

전국건강조사에 참여한 성인 28만 8888명을 9년간 추적 조사했더니,

하루 수면시간이 7시간에 못 미치면 뇌졸중 발병 위험이 22% 높아졌다.

그러나 8시간 이상 자면 뇌졸중 발병 위험이 무려 146%까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적게 자도, 많이 자도 피곤한 사람이 있다.

이땐 ▲6시간 ▲7시간 반 ▲9시간 등 수면 시간을 90분 배수로 설정해본다.

우리는 잘 때 얕게 자는 렘수면과 깊게 자는 비렘수면을 반복하는데,

렘수면에 깰 때 일어나는 게 더 수월하고 개운하다.

렘수면은 잠에 들자마자 시작하고, 90분 주기로 나타난다.

 

적정 수면 시간인 7~8시간 사이에 있는 7시간 반을 자는 게

가장 건강하고 개운하게 잘 수 있는 시간이다.

다만, 수면무호흡증 등으로 수면의 질이 떨어지면 렘수면이 돌아오는 주기가 다를 수 있다.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