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 키우기=근육은 우리 몸에서 열을 만들어내는 공장이다.
체열의 40% 이상이 근육에서 만들어진다.
움직이는 과정에서 근육이 수축·이완을 반복하며 열을 낸다.
또 근육이 부족하면 혈액이 몸 구석구석 퍼져나가지 못해
체온 조절이 잘 안 된다.
심장에서 만들어진 따뜻한 혈액은 근육의 움직임을 통해
전신으로 퍼져나가야 한다.
이로 인해 근육이 감소한 노인이나
식단을 극단적으로 줄여 체중을 감소시킨 사람은 추위를 유독 잘 탄다.
▷음식 씹는 횟수 늘리기=음식을 여러 번 씹어 먹으면 체온이 높아진다.
음식을 씹는 과정에서 머리와 얼굴 전체에 열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입에 음식을 넣었을 때 30회 정도 씹고,
이를 위해 식사 시간도 20~30분을 지키는 게 좋다.
음식 씹는 횟수를 자연스럽게 늘리기 위해
많이 씹어야 하는 음식을 자주 먹는 것도 방법이다.
아몬드 등 견과류나 우엉, 연근, 녹황색 채소가 오래 씹기에 좋다.
▷과식 피하기=추위를 이겨내려면 많이 먹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렇지 않다.
많은 양의 음식을 소화하기 위해 위장으로 혈액과 에너지가 집중되기 때문이다.
반대로 근육, 뇌에 가야 할 혈액은 줄면서 체온이 떨어진다.
추우면 가만히 있어도 몸에서 소모되는 에너지의 양인 ‘기초대사량’이
약간 높아지는 게 사실이다(기온 10도 내려가면 3% 증가). 하지만
이를 위해 음식을 더 먹을 필요는 없다.
추운 날씨에는 바깥 활동을 덜 해서 에너지 소모량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질 좋은 잠 자기=잘 자야 자율신경의 균형을 유지해 체온조절시스템을 안정시킬 수 있다.
몸이 활발하게 움직일 때는 교감신경이,
수면 중이거나 긴장을 풀고 있을 때는 부교감신경이 우리 몸을 지배한다.
이 두 가지 자율신경이 일정한 리듬에 따라 교대되려면
일정 시간 질 높은 잠을 자는 게 중요하다.
잘 자면 신진대사가 순조롭게 이뤄지고
혈액순환이 잘 되면서 체온이 유지되기도 한다.
▷단백질 식품 섭취=음식을 먹으면 일정 비율이 열을 내는 데 쓰이는데,
단백질이 다른 성분에 비해 그 비율이 높은 편이다.
지방은 섭취량의 3%, 탄수화물은 8%만 열을 내는 데 쓰이지만
단백질은 25%나 된다.
단백질은 그 자체가 열을 낼 뿐 아니라,
단백질을 먹어서 열을 만들어내는 근육이 늘어나는 것도
체온 유지에 기여한다.
단, 소고기·돼지고기 같은 적색 고기는 혈액을 끈적하게 만들어
겨울철 심근경색 위험을 높일 수 있다.
닭고기·우유·치즈·생선 등을 섭취하는 것이 낫다.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만히 앉아 '이것'만 했는데… 혈압 떨어지고 심장병 예방 (0) | 2022.10.31 |
---|---|
일어나서 4분간 '이것' 하기.. 혈관 튼튼하게 해 (0) | 2022.10.22 |
"주 2회 이상 '이것'하는 노인, 오래 산다" (연구) (0) | 2022.10.22 |
하루 10분만 쓰세요..건강이 따라와요 (0) | 2022.09.30 |
서울대의대, 12만명 8년 추적 관찰.."술 마신 다음날 꼭 00해야" (0) | 2022.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