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torcycles & 그 이야기들

[스크랩] 기능 시험 (장애물 코스)

mistyblue 2013. 11. 17. 21:30

기능시험 (장애물 코스)

마지막으로 장애물 코스이다.
이 코스만 지나가면 합격의 영광이 기다리고 있으니, 조금만 주의해서 마지막까지 실수하지 않도록한다.



A : 3m

B : 1.5m

C : 4.5m

D : 27m

- 양쪽 끝은 10센티미터 너비의 황색 실선으로 표시.
- 입체 장애물은 라바콘(높이 75cm)으로 설치.
- 입체 장애물은 중심선상에 5개소 설치.
- 시험방법 : 화살표 방향으로 진입하여 진로를 변경하면서 검지선 접촉이나 발이 땅에 닿거나 라바콘을
- 접촉하지 아니하고 통과.
- 감점기준 : 검지선을 접촉한 때 마다, 또는 발이 땅에 닿을 때 마다, 또는 라바콘을 접촉한 때마다
- 10점 감점.

장애물 코스 통과방법

이 코스는 S자 코스 만큼이나 쉽다. 하지만 역시 주의해야 할 부분이 있다.
코스에 진입한 후 반드시 첫 라바콘을 왼쪽으로 둔 상태에서 오른쪽으로 우회하여야 하고, 핸들이나 바퀴,자신의 무릎등이 라바콘에 닿으면 10점이 감점되므로, 가능한 한 다리를 바이크에 바짝 붙이고(니그립),라바콘과 여유를 두어서 닿지 않도록 유의하여 통과하도록 하자.

다섯 개의 라바콘을 다 지나쳐서, 코스 마지막의 감지선에 바이크의 뒷바퀴가 지나가면 바이크를 세우자.
여기서는 뒷브레이크를 사용하든, 앞브레이크를 사용하든 맘대로 해도 된다.

알아두면 좋은 정보

합격한 이후의 절차들
정상적으로 코스를 완주했다면, "딩동댕동~♪" 이라는 벨소리가 들릴 것이다.
감독관에게서 주민등록증, 응시원서, 합격안내서를 받고 실기시험을 접수했던 2종 소형 창구로 가자.
자세한 사항은 합격안내서에 나와 있겠지만, 새로운 면허증을 발급 받기까지는 2~3주의 시간이 소요된다.
(일부 시험장 제외)

면허증을 받기 이전에 바이크에 올라타면, 아무리 합격한 사람이라 할지라도 무면허로 처리되어 면허가 취소되므로, 합격했다고 해서 바로 바이크에 올라타는 일이 없도록 한다.

그리고, 기존에 기타 면허증을 가지고 있던 사람은 기존의 면허증을 반납하고,새롭게 갱신된 면허증을 받게 된다.

더불어 합격증은 날짜 안내서와 같은 것이 적혀 있기도 하거니와,
나중에 면허증을 찾으러 올 때에도 필요하므로 반드시 잘 보관해 두도록 하자.

출처 : 소울 라이더 <Soul Riders>
글쓴이 : 필리 바이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