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afe.daum.net/46-osun/K9hR/1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
(Nabucco중에서) /Verdi
작곡자 : 베르디
(Giuseppe Fortuniro Francesco Verdi,)
1813~1901, 이탈리아)
베르디 오페라 `나부코` 중에서 3막
구약성경에 나오는 바벨론의 느부갓네살
(네부카드네자르)왕에게 잡혀간 유대인들이
핍박 속에서도 좌절하지 않고 꿋꿋이 살아
가는 이야기를 발견한 이탈리아의 작곡가
베르디가, 유대인들의 조국을 그리며 자유를
구가하는 가사에 빠져들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멜로디를 붙여 나가게 되었다는
곡이라네요.
베르디 / 오페라 나부코 中 3막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 Giuseppe Fortunino Francesco Verdi [1813∼1901]
금빛날개를 타고 날아가라, 내 상념이여 가거라, 부드럽고 따뜻한 바람이 불고 향기에 찬 조국의 비탈과 언덕으로 날아가 쉬어라! 요르단의 큰 강둑과 시온의 무너진 탑들에 참배를 하라... 오, 사랑하는 빼앗긴 조국이여! 오, 절망에 찬 소중한 추억이여!
예언자의 금빛 하프여, 그대는 왜 침묵을 지키고 있는가? 우리 가슴속의 기억에 다시 불을 붙이고, 지나간 시절을 이야기해다오. 예루살렘의 잔인한 운명처럼 쓰라린 비탄의 시를 노래 부르자. 참을 힘을 주는 노래로 너에게 용기를 주시리라!
19세기 중반에 밀라노의 스칼라극장에서 초연된
「나부코」는 때마침 오스트리아의 압정 하에
시달리던 밀라노 사람들에게 강렬한 자극을
주었다고 합니다. 포로 유대인들과 자신들을
같은 처지로 여기고 ‘노예들의 합창’을
국가처럼 불렀다는 것이지요. 그 노래는 절망과
우수에 빠져 있던 이탈리아 국민들에게 희망의
날개를 달아 주었다는 것입니다.
독립과 통일을 바란 국민들은 베르디를 애국적인
우상으로 삼고, 작품이 나올 때마다 열광을 아끼지
않았다고 하네요. 하긴 이탈리아가 가리발디 장군에
의해서 통일된 국가로 건설된 시기가 1870년경인가
할 것입니다. 그러므로 밀라노에서 나부코가 초연
되고 난 20~30년 후에 통일이 된 것으로 보여지네요.
(오래돼서 기억이 가물가물.....)
18세기 중반까지 『오스트리아 ․ 헝가리 제국』은
지금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강대국이었답니다.
프랑스 루이 16세의 왕비로 길로틴(단두대)의 이슬로
사라진 그 유명한 「마리 앙트와네트」의 생모인
오스트리아의 여제(女帝) 「마리아 테레지아」시절
까지는요. 이탈리아 북부, 독일 남부, 헝가리 ․ 체코
․ 슬로바키아 ․ 세르비아 ․ 크로아티아, 폴란드 일부,
루마니아 일부 등 광대한 영토를 가진 나라였지요.
여제(女帝) 사후, 프랑스대혁명의 영향과 나폴레옹
전쟁의 패배로 제국이 서서히 기울기 시작하면서
각 민족들이 독립운동을 하기 시작합니다.
|
| |
| |